지원금

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 완벽 가이드

helpkov 2025. 7. 8. 13:35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완벽 가이드

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민생회복 지원금) 제도는 두 차례에 걸쳐 전 국민에게 지급돼요. 1차 지급에서 누구나 최소 15 만 원을 받고(차상위·한부모 가구 30 만 원, 기초수급 가구 40 만 원), 2차 지급에선 소득 상위 10 %를 제외한 국민 90 %가 1인당 10 만 원을 추가로 받아요. 주소지가 서울·경기·인천을 뺀 비수도권이면 1인당 3 만 원, 인구감소지역 84곳에 거주하면 5 만 원이 더해져 최대 58 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올해의 가장 큰 특징이에요.

 

1. 지급 금액 한 눈에 보기

구분1차 기본금2차 추가금지역 가산(최대)받을 수 있는 총액
소득 상위 10 % 15 만 원 +5 만 원 23 만 원
일반 90 % 15 만 원 10 만 원 +5 만 원 33 만 원
차상위·한부모 30 만 원 10 만 원 +5 만 원 48 만 원
기초생활수급 40 만 원 10 만 원 +5 만 원 58 만 원
 

가산금은 주민등록 주소지로 자동 산정돼 별도 신청이 필요 없어요.

2. 신청 기간·접수 창구

구분온라인 신청오프라인 신청
1차 7 월 21 일 09:00 ~ 9 월 12 일 18:00(24 시간 접수) 같은 기간 평일 09:00~18:00(은행 창구는 16:00 마감)
2차 9 월 22 일 00:00 ~ 10 월 31 일 24:00 같은 기간 평일 09:00~18:00
 
  • 1차 첫 주(7 월 21 일~25 일)는 출생연도 끝자리 요일제가 적용돼요.
    • 월 : 1·6 / 화 : 2·7 / 수 : 3·8 / 목 : 4·9 / 금 : 5·0
  • 온라인은 정부24·보조금24 앱에서 24 시간 신청 가능.
  • 오프라인은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와 카드사 제휴 은행 창구가 열려요.
  • 거동이 어려운 분은 지자체에 “찾아가는 신청”을 요청할 수 있어요.

3. 신청부터 사용까지 ― 모바일 10분 컷

  1. 앱 접속
    정부24 또는 보조금24 앱 홈 화면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배너를 눌러요.
  2. 본인 인증
    공동·간편 인증서를 선택하면 가구원·소득·가산금이 자동 계산돼요.
  3. 지급 수단 고르기
    •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 제로페이 포인트
    • 신용·체크·선불카드
    • 지류 상품권
  4. 특례 체크
    소득 급감, 휴·폐업, 다자녀, 임신 등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증빙 사진을 첨부해요.
  5. 신청 완료
    모바일·카드는 버튼을 누르는 즉시 충전 완료. 지류 상품권은 우편으로 5~7 일 내 도착해요.

QR 코드는 24 시간 뒤 만료돼요. 당장 쓸 계획이 없다면 ‘쿠폰 재생성’으로 새 QR을 받아 두세요.

 

4. 지급 수단별 특징

수단장점유의할 점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결제마다 10 % 캐시백, 사용처 가장 넓음 결제 시 QR 만료 주의
제로페이 포인트 QR·바코드 모두 지원, 일부 공공요금 결제 가능 간편결제 앱 하나를 반드시 지정
신용·체크·선불카드 기존 카드 포인트와 분리돼 관리 쉬움 온라인 쇼핑몰·배달 앱 사용 불가
지류 상품권 전통시장·노점에서 현금처럼 사용 분실·파손 시 재발급 불가
 

공통 사용 제한 업종: 백화점, 대형마트, 복합쇼핑몰, 대기업 프랜차이즈, 유흥·사행 업종, 온라인 쇼핑몰.

 

5. 사용 기한·사용처

  • 사용 기간: 지급일 ~ 11 월 30 일(1·2차 모두 동일)
  • 사용 지역: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시·군·구 내부
  • 가맹 요건: 연 매출 30 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
  • 가능 업종 예시: 동네 식당, 카페, 편의점, 전통시장, 미용실, 학원, 소형 주유소, 병원·약국, 문화센터
  • 분할 결제 OK: 잔액 43 000 원 → 20 000 + 20 000 + 3 000 원 세 번 쪼개 쓰기 가능
  • 환불·반품 시: 같은 수단의 잔액으로 복원, 유효기간은 그대로 유지

 

6. 똑똑하게 쓰는 절약 팁 7가지

  1. 명절 전통시장 10 % 할인에 캐시백 10 %까지 더하면 체감 20 % 이상 절약돼요.
  2. 지역 축제·공연 티켓을 제로페이로 결제하면 주말 나들이 비용이 뚝 떨어져요.
  3. 수도요금·문화센터 수강료까지 결제 가능해 숨은 고정비를 줄일 수 있어요.
  4. 소형 주유소도 가맹점이면 지방 여행 주유비를 아낄 수 있어요.
  5. 아이 학원·방과후 강좌 결제에 활용하면 교육비 부담이 확 줄어요.
  6. 고향사랑기부제와 연계해 지역 농특산물을 사고 세액공제까지 챙겨 보세요.
  7. 분할 결제 전략으로 잔액을 0 원까지 깔끔하게 소진하면 기한 내 미사용 금액이 남지 않아요.

 

7. 자주 묻는 질문 10선

Q1. 건강보험료 기준을 살짝 넘겼는데 신청이 불가능한가요?
A1. 최근 3 개월 동안 급여가 20 % 이상 줄었다는 급여명세서나 휴업 신고서를 올리면 ‘소득 급감 특례’ 심사를 받을 수 있어요.

Q2. 휴대폰을 바꿨더니 모바일 쿠폰이 사라졌어요.
A2. 같은 간편결제 앱에 다시 로그인하면 자동 복원되고 QR은 하루 세 번까지 재발급 가능해요.

 

Q3. 사용 기한을 지나면 잔액이 이월되나요?
A3. 11 월 30 일 이후 남은 잔액은 국가·지자체로 환수돼요. 정부가 별도로 연장 고시할 때만 최대 한 달 늘어날 수 있어요.

 

Q4.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 가산금은 따로 신청해야 하나요?
A4. 아니요. 주민등록 주소지를 기준으로 자동 가산돼요.

 

Q5. 지류 상품권을 분실했는데 재발급이 되나요?

A5. 지류는 재발급이 불가하니 모바일 전환 후 사용하는 편이 안전해요.

 

Q6. 카드 결제도 현금영수증이나 소득공제가 되나요?
A6. 모바일·제로페이·카드 결제 모두 자동 현금영수증이 발급돼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Q7. 미성년 단독 세대주도 신청할 수 있나요?
A7. 가능해요. 다만 지급 수단은 모바일 상품권이나 카드로 제한돼요.

 

Q8. 개인사업자로 휴·폐업 상태예요. 신청 자격이 있나요?
A8. 휴업·폐업 사실증명서를 첨부하면 소득 급감 특례로 인정받을 수 있어요.

 

Q9. 임신 22 주 이상이면 태아도 가구원으로 계산되나요?
A9. 맞아요. 미출생 자녀도 다자녀 가산에 포함돼요.

 

Q10. 결제 후 환불하면 유효기간이 새로 늘어나나요?
A10. 환불 잔액은 그대로 복원되고 유효기간도 기존 기한을 그대로 따라가요.

8. 마무리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가계 부담을 줄이면서 지역 소상공인 매출을 끌어올리는 착한 소비 촉진제예요. 신청부터 결제까지 스마트폰으로 10 분이면 끝나고, 최대 58 만 원 지원에 결제 캐시백까지 더해지니 체감 혜택이 상당하답니다. 예산이 한정돼 있어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정부24 앱을 열어 자격 조회부터 시작해 보세요. 오늘 내가 쓰는 한 끼와 한 잔, 그리고 한 번의 장보기가 우리 동네 경제를 살리는 선순환 소비의 출발점이 될 거예요!